티스토리 뷰
심폐소생술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간의 힘으로 혈액 순환과 호흡을 돕는 처치 방법입니다. 심장이 멈춘 후 4~6분 가량 혈액순환이 되지 않으면 뇌손상이 오게 됩니다. 만약을 대비해 쉽고 간단하게 심폐소생술 하는 법과 자동심장충격기(제세동기)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심폐소생술 하기
1. 반응 확인
양쪽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괜찮으세요?”라고 질문하며 환자의 반응을 확인합니다.
→ 반응을 할 경우 호흡과 맥박이 있다면, 편한 자세를 취하게 하고 의료진이 도착할 때까지 호흡과 맥박을 확인합니다.
2. 반응이 없고 호흡이 없다면 도움 요청
① 주위 사람이 있다면, 119에 신고하고 자동심장충격기를 가져다줄 것을 부탁합니다.
→ 사람이 2인 이상일 경우 구체적으로 특정인을 지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빨간 상의에 안경 쓰신 분 119에 신고해 주세요"라고 합니다. 특정인을 지목하지 않을 경우 무의식 중에 다른 사람에게 미루게 되어 행동을 하지 않게 된다고 합니다.
② 주위 사람이 없다면 119에 신고하여 환자의 상태를 알리고 응급의료상담원의 전화 지시에 따릅니다
3. 가슴압박
① 가슴뼈 아래쪽 절반 부위에 손가락을 깍지 끼거나 펴서 두 손을 모으고 압박을 실시합니다. 체중을 이용해서 압박해야 하므로 팔꿈치를 펴서 어깨와 일직선을 이루게 하고 환자의 가슴과 수직이 되도록 누릅니다.
②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30회 실시합니다. 압박 깊이는 5cm로, 체중을 실어 눌러야 하는데, 뼈가 부러지지 않을까 하는 마음이 들고 실시한 후 힘이 들 정도로 강하게 눌러야 합니다.
4. 기도 유지 및 인공호흡
→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면 이 단계는 생각하고 가슴압박만 하는 것도 좋습니다.
① 한 손의 손바닥으로 이마를 짚어 머리를 뒤로 젖히고 다른 손으로 턱을 들어줍니다. 기도를 눌러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② 이마를 짚은 손의 엄지와 검지로 환자의 코를 막고 1초에 1번씩 총 2회 실시합니다.
5. 응급의료진이 오거나 호흡이 회복될 때까지 가슴압박 30회와 인공호흡 2회 번갈아 실시
자동심장충격기 사용하기
1. 심장충격기 켜기
→ 반응과 정상 호흡이 없는 환자에게만 사용합니다.
2. 패드 붙이기
→ 오른쪽 패드는 오른쪽 빗장뼈 아래, 왼쪽 패드는 가슴 아래쪽 중간 겨드랑이 선에 부착합니다.
3. 심장 리듬분석
→ 분석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환자에게서 물러납니다.
4. 충전
→ 분석 후 "제세동이 필요합니다" 또는 "심장충격이 필요합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고 충전이 되는 동안 가슴압박을 시행합니다.
5. 제세동 시행
→ 충전 완료 후 다시 물러나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환자에게서 모두 물러난 후 쇼크 버튼을 누릅니다.
6. 가슴압박
→ 심장 충격 실시 후 응급의료진이 올 때까지 다시 가슴압박을 실시합니다.
이상 심폐소생술과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심폐소생술에 자신이 없다면, 평소에 주위에 자동심장충격기가 어디 있는지 알아두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자동심장충격기가 없다면, 가슴압박을 실시해 주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심폐소생술 교육 기관이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 대한심폐소생협회 홈페이지 링크를 남겨두겠습니다. 가까운 곳이 어딘지 확인하셔서 시간 될 때 배워두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2023.05.10 - [분류 전체보기] - 화재 종류에 따른 소화기와 사용방법
2023.05.11 - [분류 전체보기] - 태풍 피해 예방하기
2023.05.12 - [분류 전체보기] - 각종 사고에 대비한 응급 처치 요령 알아보기